소수 찾기
문제 설명
1부터 입력받은 숫자 n 사이에 있는 소수의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만들어 보세요.
소수는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누어지는 수를 의미합니다. (1은 소수가 아닙니다.)
제한사항
- n은 2이상 1000000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입출력 예
n | result |
10 | 4 |
5 | 3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1부터 10 사이의 소수는 [2,3,5,7] 4개가 존재하므로 4를 반환
입출력 예 #2
1부터 5 사이의 소수는 [2,3,5] 3개가 존재하므로 3를 반환
문제 분석
의사 코드(pseudo code)
1 n 입력
2 2부터 n까지 모든 수를 소수 후보로 설정
3 2부터 √n까지 반복하면서
a 만약 현재 수가 소수로 표시되어 있다면
b 현재 수의 배수들을 모두 소수가 아닌 것으로 표시
4 모든 수 중 소수로 표시된 수의 개수 세기
5 결과 반환
solution.py
def solution(n):
answer = 0
for i in range(2, n + 1):
prime = True
for j in range(2, int(i ** 0.5) + 1):
if i % j == 0:
prime = False
break
if prime:
answer += 1
return answer
def solution(n):
prime = [True] * (n + 1)
prime[0], prime[1] = False, False
for i in range(2, int(n ** 0.5) + 1):
if prime[i]:
for j in range(i * i, n + 1, i):
prime[j] = False
return sum(prime)
복잡도 분석
전체 소수 구하기의 시간 복잡도는 O(nlog(log(n)))입니다.
n+1 크기의 공간 복잡도는 O(n)입니다.
따라서 최종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는 O(nlog(log(n)))입니다.
'코딩테스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12925 파이썬 (0) | 2025.06.06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12922 파이썬 (0) | 2025.06.05 |
프로그래머스 12919 파이썬 (0) | 2025.06.03 |
프로그래머스 12918 파이썬 (1) | 2025.06.02 |
프로그래머스 12917 파이썬 (0) | 2025.06.01 |